학교에서 일을 하다 보면, 내가 혼자서 고민하는 것 보다 팀으로 일할 때 훨씬 창의적인 결과가 나오는 것을 경험한다.
이 책에는 집단지성 프로젝트의 5가지 성공 원칙은
첫째, 핵심의 원칙: 모든 조직에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열심히, 자발적으로 일하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둘째, 기여의 원칙: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기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관계맺기의 원칙: 서로 관계를 맺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넷째, 협업의 원칙: 공동체가 자율규제에 의해 가치 있는 목적을 위해 단합한다.
다섯째, 창의성의 원칙: 집단적 창의성 가능
2011년 9월 21일 수요일
2011년 9월 20일 화요일
집단지성과 관련된 key words
1) web 2.0: 참여, 공유, 개방을 기본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회적 네트워킹을 통해 집단지성을 극대화한 인터넷 혁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블로그, 위키, 유투브, 플리커 등
2) 코끼리 vs 개미 (대중의 힘): 한 명 지도자의 아이디어 보다는 대중의 아이디어를 모은 것의 힘이 더 커질 수 있다.
3) 소셜 네트워크: 새로운 방식으로 사회적 네트워킹을 형성하고 있다.
4) globalization: web 2.0을 기반으로 전세계의 사람들과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으므로, 전세계 사람들과 협업이 가능하다.
5) 집단창의성: 다양한 경험, 자료, 사고와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모여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5) 떠오르는 단어들: 공유, 참여, 개방, 협업, 소통, 평등, 기여
2) 코끼리 vs 개미 (대중의 힘): 한 명 지도자의 아이디어 보다는 대중의 아이디어를 모은 것의 힘이 더 커질 수 있다.
3) 소셜 네트워크: 새로운 방식으로 사회적 네트워킹을 형성하고 있다.
4) globalization: web 2.0을 기반으로 전세계의 사람들과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으므로, 전세계 사람들과 협업이 가능하다.
5) 집단창의성: 다양한 경험, 자료, 사고와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모여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5) 떠오르는 단어들: 공유, 참여, 개방, 협업, 소통, 평등, 기여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