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1월 2일 수요일

집단지성의 교육적 적용: 개인 프로젝트

내 꿈을 향한 첫걸음 (The first step to my dream)
: 임상실습과 진료기술에 대한 노하우 공유
Dutton이 말하는 ‘기여형’
 
A. 내용
 
1) 진료의 달인 (개별 또는 조별 가능)
환자(마네킨, 동료)를 대상으로 진찰 또는 진료하는 모습을 핸드폰 동영상으로 찍어 올리기
동영상에 나오는 모든 사람은 인터넷 게재 동의서 제출
유용성에 대한 별점 매기기, 댓글
 
2) 실습우수사례: 실습을 잘 수행한 증거와 그것에 대한 노하우 적기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별점 매기기, 댓글
 
예)
- 차트작성:
차트 작성을 잘했다면 차트 사진을 첨부하고 심혈을 기울인 부분 기록
 
- 증례발표
증례발표 준비에 노력을 기울였거나 혹은 칭찬을 받았다면, 어떤 점을 노력했는지 어떤 부분에서 칭찬을 받았는지 기록 또는 사진으로 보여주기, 증례발표 자료도 남기기
 
 
3) Self-reflection
실습을 돌면서 느낀 점이나 각오, 실수한 경험담 등 자유기재
 
 
B. 구현방법
네이버 블로그 ‘메모’: 누구나 쓸 수 있고 누구나 볼 수 있게.
 
C. 참여동기 유발
일부 교수진이 총대 매고 피드백 주기
처음에는 내적동기 보다는 외적동기 유발을 써야 할 듯
3학년 한 학기 동안 해야 할 최소사항 기재
예) 개별 또는 조별 동영상 1개, 실습우수사례 1개, 자기성찰 1개, 댓글 최소 5개,
보상: 댓글 많이 달린 글, 별점 우수 등
 
 

2011년 10월 25일 화요일

집단지성의 교육학적 활용 사례

김길모, 김성식 (2011).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2);23-32

문제중심학습+집단지성!! 꽤나 어울리는 말이다.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면 그 과정에서 집단의 창의성 뿐만 아니라 개인의 능력까지 향상될 것이다. 온라인 마인드맵 도구, 위키기반 스프링노트를 적절히 활용하여 집단의 협력을 끌어 올리려고 하였다.

그런데, 집단지성, 문제중심학습은 그나마 익숙한 용어인데, '프로그래밍'에 대한 내용을 잘 몰라 제대로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학습목표와 학습내용, 교수학습내용을 보면 '문제 해결'이라고 보기가 어려운 내용이다. '이야기 만들기'가 문제 상황인가? (내가 프로그래밍 이해를 못해서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다. 음~~)

이 논문의 설계를 보면, 내가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다른 사람것도 참조하는 것처럼 보인다. 결국은 목표가 내것을 만드는 일인 것이다. 공통의 멘탈 모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개인이 일을 하는데 여러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것이 집단지성이라 할 수 있을까?

2011년 10월 10일 월요일

<대중의 지혜> 집단지성의 원리

1. 다양성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을 수 있는 관점을 추가해 줌
-집단 의사결정의 파괴적 특성을 제거하거나, 최소한 약화시키는데 기여

2. 독립성
-사람들이 저지른 실수가 서로 연관되는 것을 막아준다.
-구성원들이 이미 익숙한 과거 자료 외에 새로운 정보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3. 분산화와 통합
-분산화는 전문화를 촉진하고, 다시 전문화로 인해 분산화가 더 성장한다.
-암묵적 지식(tacit knowledge)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다.
-분산된 정보를 통합하는 메커니즘이 관건

2011년 9월 21일 수요일

집단지성의 의미: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를 읽고

학교에서 일을 하다 보면, 내가 혼자서 고민하는 것 보다 팀으로 일할 때 훨씬 창의적인 결과가 나오는 것을 경험한다.

이 책에는 집단지성 프로젝트의 5가지 성공 원칙은
첫째, 핵심의 원칙: 모든 조직에는 다른 사람들보다 더 열심히, 자발적으로 일하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둘째, 기여의 원칙: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기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관계맺기의 원칙: 서로 관계를 맺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
넷째, 협업의 원칙: 공동체가 자율규제에 의해 가치 있는 목적을 위해 단합한다.
다섯째, 창의성의 원칙: 집단적 창의성 가능

2011년 9월 20일 화요일

집단지성과 관련된 key words

1) web 2.0:  참여, 공유, 개방을 기본으로 하는 웹사이트. 사회적 네트워킹을 통해 집단지성을 극대화한 인터넷 혁명으로 평가되고 있다. 블로그, 위키, 유투브, 플리커 등

2) 코끼리 vs 개미 (대중의 힘): 한 명 지도자의 아이디어 보다는 대중의 아이디어를 모은 것의 힘이 더 커질 수 있다.

3) 소셜 네트워크: 새로운 방식으로 사회적 네트워킹을 형성하고 있다.

4) globalization: web 2.0을 기반으로 전세계의 사람들과 언제 어디서나 소통할 수 있으므로, 전세계 사람들과 협업이 가능하다.

5) 집단창의성: 다양한 경험, 자료, 사고와 성격을 지닌 사람들이 모여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5) 떠오르는 단어들: 공유, 참여, 개방, 협업, 소통, 평등, 기여